보 건 자 료 73

심혈관질환의 위험요인, 관상동액질환의 위험요인

심혈관질환(관상동맥질환)의 위험요인 흡연 흡연은 관상동맥질환과 강력한 관계있습니다. 산화물을 증가시키고, HDL콜레스테롤의 심장보호 효과를 감소시켜서 일산화탄소, 니코틴과 함께 혈관내피세포에 손상을 초래합니다. 이뿐만아니라 흡연 자체는 암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기때문에 반드시 끊어야 합니다. 지질 이상 ⑴ LDL-콜레스테롤은 관상동맥질환의 주요 위험인자로서, 특히 LDL-콜레스테롤의 증가는 동맥경화증 발생의 모든 과정에 관여합니다. ⑵ HDL-콜레스테롤은 보호작용이 있음, 이는 LDL-콜레스테롤과는 독립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HDL-콜레스테롤을 높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고혈압 관상동맥질환과 강한 상관관계가 있으며, 혈압이 높을수록 위험이 높습니다. 당뇨병 관상동맥질환의 독립적 위험인자로 남자는 2~3배, ..

뇌혈관질환의 위험요인

고혈압 ⑴ 뇌출혈과 뇌경색의 가장 큰 위험인자로 수축기 및 확장기 혈압의 정도와 뇌졸중 발생이 상관관계가 있습니다. 고혈압이 있는 환자에서 뇌졸중이 정상인보다 5배 더 발생합니다. ⑵ 독립된 수축기 고혈압이 노령층 뇌졸중의 중요 위험인자입니다. ⑶ 뇌출혈에 중요한 원인으로 업무관련성 뇌혈관질환과 더욱 관련이 높습니다. 심장병 심장판막증, 부정맥, 심방세동, 심근경색증, 울혈성 심부전 등 심장 기능에 이상이 있는 환자에게서 뇌졸중 위험이 2배 높습니다. 나이 나이가 들수록 뇌졸중 위험이 증가하며, 55세 이후 10년마다 뇌졸중 위험도가 2배 증가합니다. 흡연 ⑴ 흡연 자체가 뇌졸중 위험요인 입니다 ⑵ 15~45세 사이의 성인에서 흡연자가 비흡연자보다 뇌경색이 1.6배 더 발생합니다. ⑶ 흡연 기간이 길수록..

뇌심혈관질환의 발생원인과 개인요인과 직업적요인

유전적 요인, 식습관, 운동, 스트레스, 수면, 음주 등 생활양식 및 생활습관과 작업장에서의 작업요인 등 다양합니다. 특히 직장에서 구조조정이나 조기 퇴직 등으로 인한 스트레스가 있으면 더욱 위험할 수 있고, 질병에 만성적·장기적으로 노출된 경우 이를 제때 관리하지 않아 갑작스럽게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개인이 가진 위험요인 (1) 기초 질환(고혈압, 당뇨 등) (2) 흡연 (3) 고지혈증 (4) 운동 부족 (5) 비만 (6) 긴장 및 스트레스 직업적인 요인 (1) 화학적 요인 - 유기용제 및 화학물질 - 유해가스 - 중금속 (2) 물리적 요인 - 소음 - 진동 - 고온작업 - 한량작업 등 (3) 사회심리적 요인 - 직무스트레스 - 교대근무 - 업무과부하 등 개인적 위험요인이 있는 사람에게 직업적 위험요인..

뇌심혈관계질환 - 업무와 관련한 위험요인

물리적 환경요인 갑작스러운 한랭, 고열, 소음 및 진동 등의 작업환경 화학적 환경요인 순환기계장해를 유발하는 화학물질(일산화탄소(CO), 이황화탄소(CS2), 염화탄화수소류, 니트로글리세린, 메틸렌 클로라이드 등의 지방족 니트로 화합물, 할로겐 화합물 등)에 노출되는 작업환경 야간, 교대작업 ⑴ 순환 교대작업은 일정한 주기로 생체의 리듬을 파괴하는 작업형태 ⑵ 고정된 야간작업의 경우에도 생체/생활 리듬과 맞지 않게 생활하게 됨 운전작업 택시, 버스, 트럭 등의 운전 작업은 항상 시간에 쫓기고 지속적인 긴장을 필요하는 작업으로서 정신적인 스트레스를 장기간 받는 작업 장시간 노동 및 스트레스 ⑴ 1주 60시간 이상의 노동, 육체적 강도가 높은 업무 등 ⑵ 과도한 책임, 정신적 스트레스, 심리사회적 스트레스,..

근골격계부담작업의 범위 및 유해요인조사 방법에 관한 고시 (2020. 1.6 개정)

근골격계부담작업의 범위 및 유해요인조사 방법에 관한 고시 제정 2003. 7. 15 노동부고시 제2003-24호 제정(폐지 후 재발령) 2009. 9. 25 노동부고시 제2009-56호 개정 2011. 7. 29 고용노동부고시 제2011-38호 개정 2014. 8. 1 고용노동부고시 제2014-27호 개정 2017. 7. 24 고용노동부고시 제2017-41호 개정 2018. 2. 9 고용노동부고시 제2018-13호 개정 2020. 1. 6 고용노동부고시 제2020-12호 제1조(목적) 이 고시는「산업안전보건법」제39조제1항제5호 및「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제656조제1호 및 제658조 단서의 규정에 따른 근골격계부담작업의 범위 및 유해요인조사 방법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을 규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

직무 소진(번아웃증후군)의 증상 및 평가 - 마슬락 소진측정도구 (Maslach Burnout Inventory)

마슬락 소진측정도구(Maslach Burnout Inventory) 번호 내용 전혀 그렇치 않다 (1) 대체로 그렇치 않다 (2) 반반 이다 (3) 대체로 그렇다 (4) 매우 그렇다 (5) 1 나는 업무로 인해 정신적으로 지쳐있다고 느낀다 2 나는 하루일과가 끝날 때면 녹초가 된다. 3 나는 아침에 일어나서 오늘도 일을 나가야 한다는 생각을 하면 기운이 빠진다. 4 나는 사람들과 하루 종일 함께 일하는 것이 힘들다. 5 나는 업무 때문에 지쳐 있다 6 나는 내 직업에서 좌절을 느낀다. 7 나는 너무 열심히 일한다고 느낀다. 8 나는 사람들을 직접 대하면서 일하는 것에 대해 스트레스를 받는다. 9 나는 내가 진퇴양난에 빠졌다고 느낀다. 10 나는 직장동료의 감정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11 나는 업무상 ..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 요인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 요인 (1) 직무요구 : 돌봄노동은 거동이 불편한 환자나 장애인의 일상 활동을 도와야 하기 때문에 위험이 따르고 신체적 노동강도가 매우 크다. 또한 대상자의 신체적 요구나 생활상의 요구로 인해 근무시간을 넘겨서 노동이 계속될 필 요가 있을 때 초과노동으로 장시간 노동을 한다. 또한 교대제로 야간 근무 하는 경우도 있다. (2) 감정노동 : 요양보호사의 노동은 요양보호 대상자의 필요와 욕구에 따라 자신의 감정을 조절해야 한다. 특히, 치매 등의 원인으로 정서적 돌봄의 요구가 큰 경우 감정노동의 강도는 매우 커진다. (3) 성희롱: 대상자의 집 안에서 일하는 재가 요양보호사는 대부분 여성이므로,대상자인 남자 노인으로부터 성적인 언어나 신체접촉을 통한 성희롱이 일어나는 경우가 있다. ..

직무스트레스 - 번아웃 증후군

번아웃 증후군이란? Burnout Syndrome. 한자어로 소진(燒盡)이라고 한다. 어떤 일에 몰두하다가 신체적, 정신적 스트레스가 계속 쌓여 무기력증, 심한 불안감과 자기혐오, 분노, 의욕 상실 등에 빠질 때가 있다. 미국의 정신분석 의학자 허버트 프뤼덴버그(Herbert Freudenberger) 이런 상황을 ‘번아웃(burn-out) 증후군’으로 명명했다. 그야말로 ‘다 불타서 없어진다’는 뜻으로, 탈진 증후군, 연소 증후군, 소진 증후군이라고도 한다. 어떤 직무를 맡는 도중 극심한 육체적피로와 정신적 피로를 느끼고 직무에서 오는 열정과 성취감을 잃어버리는 증상 번아웃 증후군 대표 증상 1. 기력이 없고 쇠약해진 느낌이 든다. 2. 쉽게 짜증이 나고 노여움이 솟는다. 3. 하는 일이 부질없어 보이..

직무스트레스로 인한 몸의 반응

직무스트레스로 인한 몸의 반응 스트레스에 대한 일반 적응 증후군 -스트레스에 대한 일반 적응 증후군은 경고 → 저항 → 소진의 세단계로 진행 *출처 : Selye의 일반 적응 증후군 General Adaptation Syndrome, GAS (Selye, 1956a) -에너지 동원의 단계에서 시작하여 싸움의 단계로 넘어가고 그래도 도전이 지속되면 탈진이 되는 단계로 진행 만성적 스트레스에 대한 신체반응 3단계 1단계 경고반응(에너지 동원 단계) 스트레스원에 노출될 때 신체가 받는 부담이 몸의 반응으로 나타남 -신체적증상 : 발열, 두통, 근육 및 관절통, 식욕상실, 피로감등 -심리적증상 : 막연한 불안. 짜증과 주의집중의 실패, 불면 등 2단계 저항단계(싸움의 단계) 스트레스원을 다루기 위해 신체적 자원..

직무스트레스의 정의 및 직무스트레스의 요인

1. 직무스트레스의 정의 내가 맡은 일로 인해 심하게 압박감을 받을 때 나타나는 신체적 반응과 심리적(정서적) 반응을 말하며, 스트레스 반응은 사람마다 차이가 있습니다. ⑴ 근로자의 능력이나 자원, 바램(요구)과 일치하지 않음으로써 근로자 에게 유해한 신체적 또는 정서적 반응을 초래하는 업무적 요인 ⑵ 개인에게 위협을 가하는 모든 직무환경의 특성- (Calpan, Jones, 1975) 2. 직무스트레스의 요인 직무스트레스의 가장 큰 원인은 일의 불균형이며, 직업에 따라 상이한 양상을 보입니다. 다만 업무의 수준이 근로자가 처리할 수 있는 수준의 한계보다 너무 높아 일을 수행하기 어렵거나, 혹은 근로자가 실제로 쏟은 노력에 비해 보상이 낮은 경우 등이 직무 스트레스의 주된 요인으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요..

근골격계질환의 정의와 발생원인, 예방법

근골격계질환 근육과 신경, 힘줄, 인대, 관절 등의 조직이 손상되어 신체에 나타나는 건강장해를 말합니다. 일을 하려고 하는데 어깨가 결리고, 담이 들거나, 무릎이 아픈것들을 뜻합니다. 근골격계질환 발생원인 반복적인 동작, 부적절한 작업자세, 날카로운 면과의 신체접촉, 진동 및 온도 ○ 반복적인 동작 : 키보드 작업, 휴대폰 조립작업 등 ○ 부적절한 작업자세 : 무릎을 굽히고 방바닥 걸레질, 허리를 비트는 자세, 무거운 것들 들때 허리굽히기, 물건을 올릴때 까치발 들기 등 ○ 날카로운 면과의 신체 접촉 : 면적이 좁은 부분에 계속 팔이나 다리를 대고 있는 자세 등 ○ 진동 : 진동장갑을 착용하지 않고 진동공구를 사용하면 레이노드씨 증후군에 걸림. ○ 온도 : 추운 겨울에 근골격계질환이 더 많이 걸린다. 주..

역학조사란? 역학조사를 실시할 수 있는 경우는?

역학조사란? 직업성 질환의 진단과 예방, 발생원인의 규명을 위해 필요하다가 인정할때 근로자의 질병과 작업장의 유해요인의 상관관계에 관한 직업성질환 역학 조사를 할 수 있다. 역학조사를 실시할 수 있는 경우 1. 작업환경측정, 건강검진결과 만으로 직업성질환 발생원인 판단이 어려운 경우 실시할 수 있다. 2. 사회적 물의를 일으킨 질병에 대한 사업장 연관성 규명이 필요한 경우 실시할 수 있다. 3. 역학조사는 근로복지공단이 업무상 질병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요청하거나, 안전보건공단에서 직업성 질환 예방을 위해 필요하다 인정하는 경우 실시할 수 있다. 4. 사업주, 근로자대표, 건강진단기관 의사 등이 요청한 경우에 실시할 수 있다. 역학조사 거부시 과태료 사업주는 1차,2차,3차 모두 각 1,500만원 근로자는..

청력검사의 대상, 검사주기 등

- 배치전 건강진단은 근로자의 신규채용 또는 작업부서의 일환으로 특수건강 진단 대상 업무에 종사할 근로자에 대하여 직업병의 조기발견에 필요한 기 초 건강자료 확보와 유해업무에 대한 업무적합성 평가를 위하여 업무에 배 치 한다. - 특수건강진단은 직업병을 조기 발견하기 위하여 유해업무에 종사하고 있는 근로자에 대하여 실시하며 소음작업의 경우 배치 후 1년 이내에 실시하고 그 후에는 2년에 1회 이상 주기적으로 실시한다. - 단, 다음의 경우에는 특수건강주기를 2분의 1로 단축하여야 한다. ① 작업환경을 측정한 결과 노출기준 이상인 작업공정에서 소음에 노출되 는 모든 근로자 ② 특수건건강진단․수시건강진단 또는 임시건강진단을 실시한 결과 직업 병 유소견자가 발견된 작업공정에서 소음에 노출되는 모든 근로자 파트..

소음의 노출기준과 충격소음 노출기준

1. 소음의 노출기준(충격소음제외)* (연속소음(continuous noise)에 대한 노출기준) 1일 노출시간(hr) 소음강도 dB(A) 8 90 4 95 2 100 1 105 1/2 110 1/4 115 1. 115dB(A)를 초과하는 소음 수준에 노출되어서는 안됨 2. 매일 8시간씩 90dB의 소음에 노출되면 난청이 일어날 수 있음 3. 노동부는 exchange rate 또는 doubling rate를 5dB로 정하고 있다. 즉, 소음수준이 5dB 증가함에 따라 허용노출시간(permissible duration time)은 50% 감소한다. 2. 충격소음의 노출기준 1일 노출횟수 충격소음의 강도 dB(A) 100 140 1,000 130 10,000 120 1. 최대 음압수준이 140dB(A)를 초..

소음에 의한 청력손실 유형 네가지

소음에 의한 청력손실 유형 네가지 ① 일시적인 청력손실 큰 소움에 담시 노출되었다가 조용한 곳으로 이동했을때 작은 소리를 듣지 못하는 경우이며 시간이 경과하면 원상태로 회복된다. 일시적 역치이동이라고도 한다. ② 영구적인 청력손실 소음 환경에 장시간 노출되거나 충격음에 과다 노출되는 경우 청각이 손상되어 청력이 회복되지 않는 것이다. 청력 자애가 생긴 상태를 말하며 회복이나 치료가 어렵다. ③ 음향성 외상 큰소음에 순간적으로 폭로되어 돌발적으로 부분적 혹은 완전한 청력 손실을 초래 하는 것을 말한다. 수개월이 지나면 어느정도 회복 하기도 한다. ④ 돌발성 소음성 난청 평소 소움에 계속적으로 폭로된 상태에서 어느 순강 폭로음의 강도가 증가 되었을때 야기 되는 돌발적인 청력손실을 말한다. 이명과 현기증을 동..

반응형
1 2 3 4 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