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학자들의 손실비용 계산방식
하인리히 방식
- 직접손실:간접손실=1:4
- 간접손실비용=인적손실+생산손실+물적손실+기타손실
버드 방식
보험비용:비보험비용=1:6~53
콤페스 방식
전체 재해손실=공동비용+개별비용
노구찌 방식
재해코스트=법정 보상비+법정외 보상비+각종 손실비용
각종 손실비용=인적+물적+생산+특수손실
경제적 손실 추정액(정부의 산업재해 현황분석)
하인리히 방식(1:4)을 채택
직접손실액:산재보상금 지급액
간접손실액:직접손실액(산재보상금 지급액)의 4배
업종별 직접손실비용과 간접손실비용 [영국의 보건안전청(HSE)]
- 운수업=1:8
- 건설업=1:11
- 석유시추(채취)업=1:11
- 낙농업=1:36
미국의 자동차 부품업체:간접손실비용은 직접손실비용의 9.5배
파트너스 활동을 통해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음
반응형
'안 전 자 료 > 산업안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내ㆍ외의 안전경영 시스템 인증 종류 (0) | 2021.03.04 |
---|---|
안전경영의 목적과 안전경영 전략 5단계 (0) | 2021.03.04 |
산업재해 통계 (재해통계의 목적과 재해율의 종류) (0) | 2021.03.04 |
TOP 이론 (0) | 2021.03.04 |
산업재해조사의 목적 및 재해조사의 원칙 (0) | 2021.03.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