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 전 자 료/안전문화 5

국내 안전문화 사고 사례 (삼풍백화점 붕괴사고)

삼풍백화점 붕괴사고 (1995.06) •불법 설계 변경과 부실공사 •건물 붕괴조짐에도 무리한 영업 강행 •6.25 전쟁 이후 가장 큰 인적 재해로 기록 (502명 사망, 6명 실종, 937명 부상) 1995년 6월 발생한 삼풍백화점 붕괴사고는 사망자 502명, 실종 6명, 부상 972명이라는 인명피해를 발생시켜 6.25전쟁 이후 가장 큰 인적 재해로 기록되었습니다. 불법 설계 변경, 부실 공사 등 다양한 요인이 사고의 원인으로 지적되었으나 부정부패가 만연한 사회의 문화(뇌물을 통한 설계변경 및 건축 승인), 경영진의 안전경시와 탐욕 등의 사회와 조직의 안전문화의 부재가 사고의 근본적인 원인으로 지적됨. 특히, 붕괴의 징조가 있었음에도 무리하게 영업을 강행하며 손님과 직원 1,500여명의 사람들을 대피시키..

안전문화 개념의 등장 (안전문화의 등장 배경이 된 사고 사례)

두 사고의 발생 장소와 구체적인 사고의 원인은 다르지만, 안전의 중요성을 간과한 조직문화가 사고의 원인으로 지적되었다는 공통점을 지님. 이후 안전분야에서 조직문화의 중요성을 강조하게 되었으며 안전문화의 시작이라고 볼 수 있음. 1. 체르노빌 원전사고(1986.04.) •원전폭발사고 발생, 방사능 피폭으로 56명 사망, 6,500명 이상의 암환자 발생 •사고 조사 보고서에 안전문화 개념 등장 -안전문화의 개념이 도입된 계기가 된 사고입니다.. 1986년 발생한 체르노빌 원전사고는 방사능 피폭으로 초기에 56명이 사망하고, 이후에도 6,500명 이상의 암환자를 발생시킨 역사상 최악의 원전사고로 평가받았씁니다. 이후 국제원자력안전자문그룹의 사고조사 보고서에서 안전문화의 부재가 사고의 원인이라고 언급됨. 보고서..

안전문화의 선진화

안전문화의 선진화 [출처 : 안전보건공단] 현재 우리의 안전보건문화수준은 법규 및 기술로 예방활동을 강제하는 기존사업방식만으로는 더 이상 산업재해율을 감소시키기 어려운 안전보건문화 도약기 단계에 머무르고 있다고 볼 수 있음/산업구조(서비스 산업화 등)·취업구조(비정규직·여성·외국인 근로자의 증가 등) 및 산업현장의 변화(신기술 개발·신규화학물질 사용 등)로 사업장 내의 유해·위험요인 다양화/사업주는 안전보건관리를 투자보다는 비용의 개념으로 인식, 사업장내 자율적 안전보건활동 저조 따라서, 근로자의 안전과 건강 확보를 위한 「양질의 일자리(decent work)」의 실현 및 재해로 인한 경제적 손실을 막기 위해서는 안전제도(법규·기술), 안전의식(교육·홍보·자료), 안전인프라(시설·네트워크)를 수단으로 하..

안전문화 3대축

새로운 안전문화 개념 [출처 : 안전보건공단]안전을 실천하는 의식, 안전을 유도하는 제도, 안전을 가능하게 하는 인프라가 결합해 만들어 내는 사회적·문화적 산물 - 안전의식 : 안전제일의 가치관이 개인의 생활이나 조직의 활동 속에 체질화된 상태 - 안전제도 : 안전한 활동을 이끌어내고 인프라를 구축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법, 제도 등 - 인 프 라 : 불안전한 상태를 제거한 시설물 및 안전 활동을 가능하게 하는 사회적 시스템 안전문화 3대 분야 산업안전보건문화분야 학교안전문화분야 생활안전문화분야(가정안전, 교통안전, 공공안전) 파트너스 활동을 통해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음

우리나라 안전문화 개념 형성 및 역사

우리나라의 산업안전보건 행정은 노동행정의 역사와 함께 발전해 왔다. 1953년에 「근로기준법」제6장의‘안전과 보건’을 근간으로「근로안전관리규칙」, 「근로보건관리규칙」등이 제정되면서 시작되었다. 이후 1981년에 산업안전보건에 관한 독립법인「산업안전보건법」이 제정, 공포되고 노동청이 노동부로 승격되면서 산업안전보건 행정이 본궤도에 오르게 되었다. 1987년에는 한국산업안전공단이 설립되어 산업안전보건 행정을 뒷받침하는 토대가 마련되었으며, 1990년에는「산업안전보건법」을 전면 개정하여 사업장의 안전보건 관리체계를 개편함으로써 자율적 안전보건관리 정착을 위한 획기적인 계기를 마련하였다. 파트너스 활동을 통해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음

반응형
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