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조사의 순서
1. 긴급사태에 신속하고 또한 적극적으로 대응
2. 발생한 사건의 관련정보를 수집
3. 중요한 원인을 남김없이 분석
4. 시정조치를 실시
5. 조사결과 및 의견서를 검토
6. 시정조치의 유효성에 대해서 사후관리
사고조사의 주요목적
(1) 재발 방지
사고의 원인이 되는 불안전한 행동 또는 상황이 판별되고 제거되거나 통제되었다
하여도 유사 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가능성은 여전히 남아있다.
(2) 정책과 규제 요구 준수
정부 규정에 따라 관련 부처는 여러 종류의 사고에 대해 정식의 조사를 요구할 것
이다. 따라서 재난, 중대사고, 환경적 위험 요소 또는 막대한 재산피해에 대한 원인
을 조사하는 것은 각별히 정확해야 한다.
(3) 관리자의 경영 접근법 개선
사고조사는 조사자들의 안전보건과 환경경영 시스템에 대한 명확한 관점을 조정하
기 위한 정보로써 사용되며, 이러한 점은 조사자들이 더 좋은 경영자적 입장에서
바라보는 시각이 필요한 이유이기도 하다. 사고조사를 하는 것은 안전하고 건강한
작업장을 위한 경영책임의 명확한 표현이며, 이런 행위는 안전한 작업장을 향한 근
로자의 태도 증진에도 도움이 된다.
(4) 중대사고 방지
아차사고는 이전에 발생하지 않았던 사고지만 언젠가 발생 될 사고로 이어진다. 아
차사고의 근본적인 원인은 반드시 확인되거나 제거되어야만 하며, 그렇지 못할 경
우 심각한 사고로 나타날 수 있다.
파트너스 활동을 통해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음
반응형
'안 전 자 료 > 산업안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고예방원리의 5단계 (0) | 2021.04.02 |
---|---|
사고와 재해란 무엇인가? (0) | 2021.04.02 |
하인리히와 버드의 이론 비교 분석(도미노이론, 재해손실비용 등) (0) | 2021.03.04 |
국내ㆍ외의 안전경영 시스템 인증 종류 (0) | 2021.03.04 |
안전경영의 목적과 안전경영 전략 5단계 (0) | 2021.03.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