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재해율
1. 연천인율
근로자 1000명당 1년 간 발생하는 사상자수
=사상자수/ 연 평균 근로자수 ⅹ 1,000
2. 도수율
산업재해의 발생 빈도
= 재해자수/총 근로시간수 ⅹ10⁶
3. 강도율(SR)
재해의 경중, 강도를 나타내는 척도
= 근로손실일수/ 총 근로시간수 ⅹ1000
4. 도수율과 강도율의 관계
환산 도수율(F) = 도수율 / 10
환산 강도율(S) = 강도율 ⅹ 100
평균 강도율 = 강도율 / 도수율 ⅹ 1000
5. 종합재해지수(도수강도치)
6. 안전활동률
7. Safe T. Score
재해손실비
1. 하인리히 : 총 재해 코스트 = 직접비 + 간접비
2. 시몬즈 방식 총재해 코스트
= 산재보험 코스트 + 비보험 코스트
* 비보험 코스트 = (휴업상해건수ⅹA) + (통원상해건수ⅹB)
+ (응급조치건수ⅹC) + (무상해 사고건수ⅹD)
# (A,B,C,D 는 장해 정도별에 의한 비보험 코스트의 평균치)
파트너스 활동을 통해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음
반응형
'안 전 자 료 > 산업재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업재해조사표 작성 - 재해조사향목과 내용 (0) | 2021.04.09 |
---|---|
재해발생 보고요령 (0) | 2021.04.09 |
일반 재해발생시의 조치 (재해발생시 업무처리요령) (0) | 2021.04.06 |
중대재해(사망) 발생시 조치사항 / 사망자 재해 처리 절차도 (0) | 2021.04.05 |
재해분석방법 / 재해요인의 분석 (특성요인도 분석, 문답방식 flow-chart에 의한 분석) (0) | 2021.04.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