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무스트레스란
직무요건이 근로자의 능력(capabilities)이나 자원(resources), 바램(needs)과 일치하지 않을 때 생기는 유해한 신체적 ․ 정서적 반응이라고 정의 할 수 있습니다.
직무스트레스의 요인
직무스트레스의 가장 큰 원인은 일의 불균형이며, 직업에 따라 상이한 양상을 보입니다. 다만 업무의 수준이 근로자가 처리할 수 있는 수준의 한계보다 너무 높아 일을 수행하기 어렵거나, 혹은 근로자가 실제로 쏟은 노력에 비해 보상이 낮은 경우 등이 직무 스트레스의 주된 요인으로 여겨집니다.
직무스트레스가 개인에게 미치는 영향
(1)개인 신체적 문제
- 피로 증가
- 짜증스런 반응의 표현 증가
- 집중과 휴식이 힘들어지며 합리적인 사고가 힘들어짐
- 비정상적인 작업 행태 및 수면 장애
- 심장 질환, 소화기 장애
- 고혈압, 두통, 근골격계 질환
- 그 외에도 신체적, 정신적 건강의 악화를 야기힘
(2) 직장생활에서 문제
오랜 기간 심각한 스트레스의 업무 환경에서 근무할 경우,
- 병적인 정신 질환 야기
- 근무를 그만 둠
- 근무 복귀가 힘들어짐
(3) 조직 전반적인 문제
- 직장인의 결근 비율의 증가
- 근무 집중도 저하
- 기업의 인사 교체율 증가
- 작업 수행 능력 및 생산성 저하
- 작업 도중 사고 위험율 증가
- 고객과 직원의 불만 호소 증가
- 사원 모집 어려움
- 기업의 이미지 손상
한국인 직무스트레스 측정 평가
한국인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기본형)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기본형) 43문항 |
* 현재 일하면서 귀하의 생각이나 느낌에 가장 가까운 곳에 “∨” 표시를 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구분 | 내 용 | 전혀 그렇지 않다 |
그렇지 않다 |
그렇다 | 매우 그렇다 |
물 리 적 환 경 |
1. 근무 장소가 깨끗하고 쾌적하다. | 4 | 3 | 2 | 1 |
2. 내 일은 위험하며 사고를 당할 가능성이 있다. | 1 | 2 | 3 | 4 | |
3. 내 업무는 불편한 자세로 오랫동안 일을 해야 한다. | 1 | 2 | 3 | 4 | |
직 무 요 구 |
4. 나는 일이 많아 항상 시간에 쫓기며 일한다. | 1 | 2 | 3 | 4 |
5. 현재 하던 일을 끝내기 전에 다른 일을 하도록 지시 받는다 | 1 | 2 | 3 | 4 | |
6. 업무량이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 1 | 2 | 3 | 4 | |
7. 나는 동료나 부하직원을 돌보고 책임져야할 부담을 안고 있다. | 1 | 2 | 3 | 4 | |
8. 내 업무는 장시간 동안 집중력이 요구된다. | 1 | 2 | 3 | 4 | |
9. 업무 수행 중에 충분한 휴식(짬)이 주어진다. | 4 | 3 | 2 | 1 | |
10. 일이 많아서 직장과 가정에 다 잘하기가 힘들다. | 1 | 2 | 3 | 4 | |
11. 여러 가지일을 동시에 해야 한다. | 1 | 2 | 3 | 4 | |
직 무 자 율 |
12. 내 업무는 창의력을 필요로 한다. | 4 | 3 | 2 | 1 |
13. 업무관련 사항(업무의 일정, 업무량, 회의시간 등)이 예고 없이 갑작스럽게 정해지거나 바뀐다. | 1 | 2 | 3 | 4 | |
14. 내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높은 수준의 기술이나 지식이 필요하다. | 4 | 3 | 2 | 1 | |
15. 작업시간, 업무수행과정에서 나에게 결정할 권한이 주어지며 영향력을 행사 할 수 있다. | 4 | 3 | 2 | 1 | |
16. 나의 업무량과 작업스케줄을 스스로 조절할 수 있다. | 4 | 3 | 2 | 1 | |
관 계 갈 등 |
17. 나의 상사는 업무를 완료하는데 도움을 준다. | 4 | 3 | 2 | 1 |
18. 나의 동료는 업무를 완료하는데 도움을 준다. | 4 | 3 | 2 | 1 | |
19. 직장에서 내가 힘들 때 내가 힘들다는 것을 알아주고 이해해 주는 사람이 있다. | 4 | 3 | 2 | 1 | |
20. 직장생활의 고충을 함께 나눌 동료가 있다. | 4 | 3 | 2 | 1 | |
직 무 불 안 정 |
21. 지금의 직장을 옮겨도 나에게 적합한 새로운 일을 쉽게 찾을 수 있다. | 4 | 3 | 2 | 1 |
22. 현재의 직장을 그만두더라도 현재 수준만큼의 직업 (직장)을 쉽게 구할 수 있다. | 4 | 3 | 2 | 1 | |
23. 직장사정이 불안하여 미래가 불확실하다. | 1 | 2 | 3 | 4 | |
24. 나의 직업은 실직하거나 해고당할 염려가 없다. | 4 | 3 | 2 | 1 | |
25. 앞으로 2년 동안 현재의 내 직업을 잃을 가능성이 있다. | 1 | 2 | 3 | 4 | |
26. 나의 근무조건이나 상황에 바람직하지 못한 변화(예, 구조조정)가 있었거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1 | 2 | 3 | 4 | |
조 직 체 계 |
27. 우리 직장은 근무평가, 인사제도(승진, 부서배치 등)가 공정하고 합리적이다. | 4 | 3 | 2 | 1 |
28. 업무수행에 필요한 인원, 공간, 시설, 장비, 훈련 등의 지원이 잘 이루어지고 있다. | 4 | 3 | 2 | 1 | |
29. 우리 부서와 타 부서간에는 마찰이 없고 업무협조가 잘 이루어진다. | 4 | 3 | 2 | 1 | |
30. 근로자, 간부, 경영주 모두가 직장을 위해 한마음으로 일을 한다. | 4 | 3 | 2 | 1 | |
31. 일에 대한 나의 생각을 반영할 수 있는 기회와 통로가 있다. | 4 | 3 | 2 | 1 | |
32. 나의 경력개발과 승진은 무난히 잘 될 것으로 예상한다. | 4 | 3 | 2 | 1 | |
33. 내 현재 직위는 나의 교육 및 경력에 비추어볼 때 적절하다. | 4 | 3 | 2 | 1 | |
보 상 부 적 절 |
34. 나의 직업은 내가 평소 기대했던 것에 미치지 못한다. | 1 | 2 | 3 | 4 |
35. 나의 모든 노력과 업적을 고려할 때 내 봉급/수입은 적절하다. | 4 | 3 | 2 | 1 | |
36. 나의 모든 노력과 업적을 고려할 때, 나는 직장에서 제대로 존중과 신임을 받고 있다. | 4 | 3 | 2 | 1 | |
37. 나는 지금 하는 일에 흥미를 느낀다. | 4 | 3 | 2 | 1 | |
38. 내 사정이 앞으로 더 좋아질 것을 생각하면 힘든 줄 모르고 일하게 된다. | 4 | 3 | 2 | 1 | |
39. 나의 능력을 개발하고 발휘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진다. | 4 | 3 | 2 | 1 | |
직 장 문 화 |
40. 회식자리가 불편하다. | 1 | 2 | 3 | 4 |
41. 나는 기준이나 일관성이 없는 상태로 업무 지시를 받는다. | 1 | 2 | 3 | 4 | |
42. 직장의 분위기가 권위적이고 수직적이다. | 1 | 2 | 3 | 4 | |
43. 남성, 여성이라는 성적인 차이 때문에 불이익을 받는다. | 1 | 2 | 3 | 4 |
직무스트레스요인 측정 지침(KOSHA GUIDE H - 67 - 2012) <별표 3>
점수 산출방법 # 각 영역별 환산점수 = (본인점수 -영역별 문항수)×100/(영역별 최고점수 - 문항수) # 직무스트레스 총 점수 = (각 8개 영역의 환산점수의 총합)/8 |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기본형) 영역별 계산방법
(1) 물리적 환경:3문항
- 불쾌한 환경, 물리적 또는 독성학적유해요인의 위협, 인간공학적 유해요인 등
- 물리적 환경 영역 계산 (본인 점수만 넣고 아래식 그대로 대입)
= 결과 점수
(2) 직무 요구:8문항
시간적 압박, 중단상황, 업무량 증가, 책임감, 과도한 직무부담, 직장 가정 양립, 업무 다기능이 이 영역임.
- 직무 요구 영역 계산 (본인 점수만 넣고 아래식 그대로 대입)
= 결과 점수
(3) 직무 자율 : 5문항
직무에 대한 의사결정의 권한과 자신의 직무에 대한 재량 활용성의 수준을 측정하며, 기술적 재량, 업무예측 불가능성, 기술적 자율성, 직무수행권한이 이 영역에 포함
- 직무 자율 영역 계산 (본인 점수만 넣고 아래식 그대로 대입)
= 결과 점수
(4) 관계 갈등:4문항
회사 내에서의 상사 및 동료 간의 도움 또는 지지 부족 등의 대인관계를 측정하며, 동료의지지, 상사의지지, 전반적 지지가 이 영역에 포함
- 관계 갈등 영역 계산 (본인 점수만 넣고 아래식 그대로 대입)
= 결과 점수
(5) 직무 불안정:6문항
자신의 직업 또는 직무에 대한 안정성을 측정하며, 구직기회 및 전반적 고용 불안정성이 이 영역에 포함
- 직무 불안정 영역 계산 (본인 점수만 넣고 아래식 그대로 대입)
= 결과 점수
(6) 조직 체계:7문항
조직의 전략 및 운영체계․조직의 자원․조직 내 갈등, 합리적 의사소통 결여, 승진가능성, 직위 부적합이 이 영역에 포함
- 조직 체계 영역 계산 (본인 점수만 넣고 아래식 그대로 대입)
= 결과 점수
(7) 보상 부적절:6문항
업무에 대하여 기대하고 있는 보상의 정도가 적절한 지를 측정하며, 기대 부적합, 금전적 보상, 존중, 내적동기, 기대 보상, 기술 개발기회가 이 영역에 포함
- 보상 부적절 영역 계산 (본인 점수만 넣고 아래식 그대로 대입)
= 결과 점수
(8) 직장문화:4문항
서양의 형식적 합리주의 직장문화와는 다른 한국적 집단주의 문화 (회식, 음주문화), 직무갈등, 합리적 의사소통체계 결여, 성적차별이 이 영역에 포함
- 직장 문화 영역 계산 (본인 점수만 넣고 아래식 그대로 대입)
= 결과 점수
한국인 직무스트레스 기본형 참고치
■ 남자용
항 목 | 본인 점수 |
회사 평균 |
참고치 | 점수의 의미 | |||
하위25% | 하위50% | 상위50% | 상위25% | ||||
물리환경 | 33.3이하 | 33.4~44.4 | 44.5~66.6 | 66.7이상 | 점수가 높을수록 물리환경이 상대적으로 나쁘다 | ||
직무요구 | 41.6이하 | 41.7~50.0 | 50.1~58.3 | 58.4이상 | 점수가 높을수록 직무요구도가 상대적으로 높다 | ||
직무자율 | 46.6이하 | 46.7~53.3 | 53.4~60.0 | 60.1이상 | 점수가 높을수록 직무자율성이 상대적으로 낮다 | ||
관계갈등 | - | 33.3이하 | 33.4~50.0 | 50.1이상 | 점수가 높을수록 관계갈등이 상대적으로 높다 | ||
직무불안정 | 44.4이하 | 44.5~50.0 | 50.1~61.1 | 61.2이상 | 점수가 높을수록 직업이 상대적으로 불안정하다 | ||
조직체계 | 42.8이하 | 42.9~52.3 | 52.4~61.9 | 62.0이상 | 점수가 높을수록 조직이 상대적으로 체계적이지 않다 | ||
보상부적절 | 55.5이하 | 55.6~66.6 | 66.7~77.7 | 77.8이상 | 점수가 높을수록 보상체계가 상대적으로 부적절하다 | ||
직장문화 | 33.3이하 | 33.4~41.6 | 41.7~50.0 | 50.1이상 | 점수가 높을수록 직장문화가 상대적으로 스트레스요인이다 | ||
기본형총점 | 45.0이하 | 45.1~50.7 | 50.8~56.5 | 56.6이상 | 점수가 높을수록 직무스트레스가 상대적으로 높다 |
■ 여자용
항 목 | 본인 점수 |
회사 평균 |
참고치 | 점수의 의미 | |||
하위25% | 하위50% | 상위50% | 상위25% | ||||
물리환경 | 33.3이하 | 33.4~44.4 | 44.5~55.5 | 55.6이상 | 점수가 높을수록 물리환경이 상대적으로 나쁘다 | ||
직무요구 | 41.6이하 | 41.7~54.1 | 54.2~62.5 | 62.6이상 | 점수가 높을수록 직무요구도가 상대적으로 높다 | ||
직무자율 | 53.3이하 | 53.4~60.0 | 60.1~66.6 | 66.7이상 | 점수가 높을수록 직무자율성이 상대적으로 낮다 | ||
관계갈등 | - | 33.3이하 | 33.4~41.6 | 41.7이상 | 점수가 높을수록 관계갈등이 상대적으로 높다 | ||
직무불안정 | 38.8이하 | 38.9~50.0 | 50.1~55.5 | 55.6이상 | 점수가 높을수록 직업이 상대적으로 불안정하다 | ||
조직체계 | 42.8이하 | 42.9~52.3 | 52.4~61.9 | 62.0이상 | 점수가 높을수록 조직이 상대적으로 체계적이지 않다 | ||
보상부적절 | 55.5이하 | 55.6~66.6 | 66.7~77.7 | 77.8이상 | 점수가 높을수록 보상체계가 상대적으로 부적절하다 | ||
직장문화 | 33.3이하 | 33.4~41.6 | 41.7~50.0 | 50.1이상 | 점수가 높을수록 직장문화가 상대적으로 스트레스요인이다 | ||
기본형총점 | 49.5이하 | 49.6~51.1 | 51.2~56.6 | 56.7이상 | 점수가 높을수록 직무스트레스가 상대적으로 높다 |
참고치 및 점수의 의미
ㅇ 참고치
한국인 직무스트레스 평가표는 대상 근로자의 실제점수와 회사(또는 부서) 평균점수 및 전국 근로자의 4분위수를 제시한 것으로 대상 근로자의 직무스트레스 점수가 어떤 범위에 포함되는가를 비교할 수 있다.
※ 참고치 상위25% : 전국 근로자중 직무스트레스가 높은 상위 25%에 해당하는 점수를 나타냄
ㅇ 점수의 의미
각 항목의 직무스트레스 점수가 어떤 범위에 포함되는가에 대한 정보를 알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참고치의 점수가 낮은 방향으로의 관리가 필요하다.
- 출처 : 고용노동부 www.moel.go.kr
- 상세 계산방법 출처 : https://na-bee.tistory.com/
- 출처 : 직무스트레스요인 측정 지침(KOSHA GUIDE H - 67 - 2012) <별표 3>
파트너스 활동을 통해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음
'보 건 자 료 > 직무스트레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트레스 지수 테스트 1 : 사회 재적응 평가척도 (Social Readjustment Rating Scale; SRRS) By.홈즈와 라헤 박사 (0) | 2024.02.01 |
---|---|
[산업보건] 직무 스트레스로 인한 질환의 종류와 심혈관계질환을 유발하는 직무스트레스 요인 (0) | 2023.11.30 |
직무 소진(번아웃증후군)의 증상 및 평가 - 마슬락 소진측정도구 (Maslach Burnout Inventory) (0) | 2022.06.15 |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 요인 (0) | 2022.06.15 |
직무스트레스 - 번아웃 증후군 (0) | 2022.06.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