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해 발생 시 안전관리상의 조치
(1) 재해조사
- 회사 내에서 발생한 재해에 대하여 그 발생원인을 분명하게 조사하여 파악함으로써 적절한 예방대책을 세울 수 있고 동종재해나 유사재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 재해원
인을 과학적 기법으로 분석함으로써 효과적인 대책을 선정할 수 있다.
- 재해조사는 *4M의 원칙을 근거로 조사하고 6하 원칙에 의해 보고한다.
*4M이란?
4M method : Man(본인외의 사람, 인간관계, 신호방법, 언어), Machine(장치나 기기,안전커버, 작업공간의 협소, 돌기물 등), Media (작업방법, 순서의 적절함, 정보의 표시방법, 작업 표준 등), Management (안전법규, 지시사항, 점검관리, 교육훈련 등)
- 원인추구사항
① 사고원인 요소
② 발생시 시설상태와 그 배경이 된 관리적 결함사항
③ 작업자 불안정 행동이 있을 때 관리적 인적결함
④ 작업방법에 대한 결함과 작업표준
⑤ 관리적인 문제는 작업자에 대한 안전지도 감독 지시사항
⑥ 작업발생 시 순서, 작업내용
- 재해조사 순서
① 사실 확인
② 직접원인과 문제점 확인
③ 근본적 문제의 결함
④ 대책 수립
- 재해요인의 도출내용
① 언제 - 발생일시, 근로조건, 사고유형
② 누가 - 인적요소
③ 어디서 - 장소, 기인물, 가해물
④ 어떠한 작업 - 작업순서, 방법
⑤ 어떠한 기계 - 기인물, 환경
⑥ 어떠한 방법으로 - 작업자, 환경
⑦ 어떻게 되었나 - 부상정도, 부위
⑧ 기타요소
⑨ 관리적 요소 결합
'안 전 자 료 > 산업재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해조사 대상 사망사고란? (0) | 2024.03.13 |
---|---|
사고예방대책의 기본 4원칙, 사고예방대책의 5단계 (0) | 2023.12.07 |
산업 재해조사의 개요, 현장보존 방법, 현장조사반의 구성 (0) | 2022.08.17 |
산업재해 정의와 산업재해의 종류 (0) | 2022.08.16 |
위험성 평가절차 유해•위험요인 파악하는 방법 (0) | 2022.08.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