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사람은 언제 어디서나 생활 사건을 경험하고 그 것이 스트레스로 적용이 됩니다.
홍강의 교수와 정도언 교수가한국의 정서와 사회적 환경을 고려하여 개발한 스트레스 지수 테스트를 해보시면 본인의 스트레스 지수가 어느정도인지 파악할 수 있습니다.
1년내 사건을 체크해서 합계값으로 계산
- 200이하 : 낮음 (우수한 편)
- 200~300 : 무난 (보통)
- 300 이상 : 높은 편 ( 질병 등에 걸릴 가능성이 더 높아 심리치료상담 필요)
스트레스로 인한 병
스트레스 호르몬 수치가 높아지면
1. 혈압증가
2. 갑상선 기능 억제
3. 생식기능/성욕 억제
4. 식욕저하
5. 면역기능 변화 유도.
6. 세로토닌이 과도하게 증가할 경우 우울증 증가, 혈압상승, 심박동 정지 초래
반응형
'보 건 자 료 > 직무스트레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트레스 지수 테스트 1 : 사회 재적응 평가척도 (Social Readjustment Rating Scale; SRRS) By.홈즈와 라헤 박사 (0) | 2024.02.01 |
---|---|
[산업보건] 직무 스트레스로 인한 질환의 종류와 심혈관계질환을 유발하는 직무스트레스 요인 (0) | 2023.11.30 |
직무스트레스 설문지 평가표(기본형) 및 계산방법 , 직무스트레스 요인 및 영향 (0) | 2022.07.26 |
직무 소진(번아웃증후군)의 증상 및 평가 - 마슬락 소진측정도구 (Maslach Burnout Inventory) (0) | 2022.06.15 |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 요인 (0) | 2022.06.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