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작경제의 원칙 (Barnes)
1. 신체 사용에 관한 원칙
① 양손은 동시에 동작을 시작하고 동시에 끝마쳐야 한다.
② 휴식시간 외에 양손이 동시에 노는 시간이 있어서는 안된다.
③ 양팔은 각기 반대방향에서 대칭적으로 동시에 움직여야 한다.
④ 작업동작은 율동이 맞아야 한다.
⑤ 직선동작보다는 연속적이 곡선동작을 취하는 것이 좋다.
⑥ 탄도동작*은 제한되거나 통제된 동작보다 더 신속∙정확∙용이하다.
"탄도동작"이라는 용어는 주로 물리학, 특히 탄도학에서 사용됩니다. "탄도"는 물체가 포물선 형태로 움직이는 경로를 의미하며, "동작"은 물체의 운동을 의미한다.
⑦ 손의 동작은 작업을 원만히 처리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최소동작 등급을 사용하도록 한다.
⑧ 동작의 관성을 이용하여 작업하는 것이 좋다.
⑨ 유연한 동작이 좋다.
2. 작업역의 배치에 관한 원칙
① 공구와 재료는 작업이 용이하도록 작업자의 주위에 있어야 한다.
② 공구와 재료는 일정한 위치에 정돈되어야 한다.
③ 중력을 이용해 부품상자나 용기를 취급한다.
④ 가능하면 낙하시키는 방법을 이용해야 한다.
⑤ 공구 및 재료는 동작에 가장 편리한 순서로 배치하여야 한다.
⑥ 채광 및 조명장치를 잘하여야 한다.
⑦ 의자와 작업대는 작업자에게 알맞게 설계되어야 한다.
⑧ 인간공학적설계의 의자는 중요하다(목받침대 있는것, 팔받침대 있는것, 조절가능한것, 바퀴가 있는것)
3. 공구 및 설비의 설계에 관한 원칙
① 발을 사용하고 손은 다른 동작을 하면 편하다.
② 공구류는 될 수 있는 대로 두 가지 이상의 기능을 조합한 것을 사용하여야 한다.
③ 손가락으로 작업 시 각 손가락의 힘이 같지 않음을 고려해야 한다.
④ 각종 손잡이는 손에 가장 알맞게 고안하여 손의 피로를 덜어준다.
⑤ 각종 레버나 핸들은 작업자가 최소로 움직이는 위치에 있어야 한다.
※ 동작경제의 원칙은 효율적인 동작으로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작업자 근육 피로감소 및 작업능률 향상에 도움이 된다.
• 신체 사용에 관한 동작등급 : 1이 가장 이상적이고, 5가 가장 신체 피로도가 심하다.
동작등급 | 신체에 관한 축 | 동작신체부위 |
1 | 손가락 관절 | 손가락 |
2 | 손목 | 손가락, 손 |
3 | 팔꿈치 | 손가락, 손, 전완 |
4 | 어깨 | 손가락, 손, 전완, 상완 |
5 | 허리 | 손가락, 손, 전완, 상완, 몸통 |
'보 건 자 료 > 인간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근골격계 부담작업,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12장 근골격계부담작업으로 인한 건강장해(656~666조) (0) | 2025.01.16 |
---|---|
근골격계질환이란? 근골격계질환의 요인과 해결책, 근골격계질환 유발 직무스트레스 요인 (0) | 2023.11.30 |
근골격계부담작업의 범위 및 유해요인조사 방법에 관한 고시 (2020. 1.6 개정) (0) | 2022.06.23 |
근골격계질환의 정의와 발생원인, 예방법 (0) | 2021.11.22 |
인간공학이란? (0) | 2021.04.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