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유전적 요인, 식습관, 운동, 스트레스, 수면, 음주 등 생활양식 및 생활습관과 작업장에서의 작업요인 등 다양합니다.
특히 직장에서 구조조정이나 조기 퇴직 등으로 인한 스트레스가 있으면 더욱 위험할 수 있고, 질병에 만성적·장기적으로 노출된 경우 이를 제때 관리하지 않아 갑작스럽게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개인이 가진 위험요인
(1) 기초 질환(고혈압, 당뇨 등)
(2) 흡연
(3) 고지혈증
(4) 운동 부족
(5) 비만
(6) 긴장 및 스트레스
직업적인 요인
(1) 화학적 요인
- 유기용제 및 화학물질
- 유해가스
- 중금속
(2) 물리적 요인
- 소음
- 진동
- 고온작업
- 한량작업 등
(3) 사회심리적 요인
- 직무스트레스
- 교대근무
- 업무과부하 등
개인적 위험요인이 있는 사람에게 직업적 위험요인이 합쳐지면 방아쇠 효과로 작용하여 위험하므로 개선할 수 있는 요인들을 파악하여 관리하여 예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022.07.07 - [보 건 자 료/산업보건] - 뇌심혈관계질환 - 업무와 관련한 위험요인
뇌심혈관계질환 - 업무와 관련한 위험요인
물리적 환경요인 갑작스러운 한랭, 고열, 소음 및 진동 등의 작업환경 화학적 환경요인 순환기계장해를 유발하는 화학물질(일산화탄소(CO), 이황화탄소(CS2), 염화탄화수소류, 니트로글리세린, 메
na-bee.tistory.com
파트너스 활동을 통해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음
반응형
'보 건 자 료 > 산업보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혈관질환의 위험요인, 관상동액질환의 위험요인 (0) | 2022.07.07 |
---|---|
뇌혈관질환의 위험요인 (0) | 2022.07.07 |
뇌심혈관계질환 - 업무와 관련한 위험요인 (0) | 2022.07.07 |
역학조사란? 역학조사를 실시할 수 있는 경우는? (0) | 2021.06.30 |
청력검사의 대상, 검사주기 등 (0) | 2021.06.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