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심혈관질환(관상동맥질환)의 위험요인
흡연
흡연은 관상동맥질환과 강력한 관계있습니다. 산화물을 증가시키고, HDL콜레스테롤의 심장보호 효과를 감소시켜서 일산화탄소, 니코틴과 함께 혈관내피세포에 손상을 초래합니다. 이뿐만아니라 흡연 자체는 암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기때문에 반드시 끊어야 합니다.
지질 이상
⑴ LDL-콜레스테롤은 관상동맥질환의 주요 위험인자로서, 특히 LDL-콜레스테롤의 증가는 동맥경화증 발생의 모든 과정에 관여합니다.
⑵ HDL-콜레스테롤은 보호작용이 있음, 이는 LDL-콜레스테롤과는 독립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HDL-콜레스테롤을 높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고혈압
관상동맥질환과 강한 상관관계가 있으며, 혈압이 높을수록 위험이 높습니다.
당뇨병
관상동맥질환의 독립적 위험인자로 남자는 2~3배, 여자는 3~5배 정도 위험 증가합니다.
운동부족
운동부족은 관상동맥질환의 위험을 2배 정도 증가시킵니다.
비만
비만은 독립적인 위험인자 보다는 비만에 의한 다른 위험인자들에 의해 관상동맥질환이 증가합니다.
2022.07.07 - [보 건 자 료/산업보건] - 뇌혈관질환의 위험요인
2020.10.05 - [건 강 정 보] - 뇌심혈관계질환에 좋은 음식과 나쁜음식
2021.01.21 - [보 건 자 료] - 급성 심부전의 증상과 뇌심혈관계질환 예방을 위한 9대 생활 수칙
파트너스 활동을 통해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음
반응형
'보 건 자 료 > 산업보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뇌심혈관계질환 예방방법 - 업무환경관리 (0) | 2022.07.07 |
---|---|
금연 하는법, 담배 끊는 방법 (0) | 2022.07.07 |
뇌혈관질환의 위험요인 (0) | 2022.07.07 |
뇌심혈관질환의 발생원인과 개인요인과 직업적요인 (0) | 2022.07.07 |
뇌심혈관계질환 - 업무와 관련한 위험요인 (0) | 2022.07.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