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혈압
⑴ 뇌출혈과 뇌경색의 가장 큰 위험인자로 수축기 및 확장기 혈압의 정도와 뇌졸중 발생이 상관관계가 있습니다. 고혈압이 있는 환자에서 뇌졸중이 정상인보다 5배 더 발생합니다.
⑵ 독립된 수축기 고혈압이 노령층 뇌졸중의 중요 위험인자입니다.
⑶ 뇌출혈에 중요한 원인으로 업무관련성 뇌혈관질환과 더욱 관련이 높습니다.
심장병
심장판막증, 부정맥, 심방세동, 심근경색증, 울혈성 심부전 등 심장 기능에 이상이 있는 환자에게서 뇌졸중 위험이 2배 높습니다.
나이
나이가 들수록 뇌졸중 위험이 증가하며, 55세 이후 10년마다 뇌졸중 위험도가 2배 증가합니다.
흡연
⑴ 흡연 자체가 뇌졸중 위험요인 입니다
⑵ 15~45세 사이의 성인에서 흡연자가 비흡연자보다 뇌경색이 1.6배 더 발생합니다.
⑶ 흡연 기간이 길수록 위험도 증가하나 담배를 끊으면 위험도가 2년 내 상당히 감소하고 5년 후에는 비흡연자와 같아집니다.
기타
⑴ 뇌졸중이나 일과성 뇌허혈 발작이 있었던 사람은 발생 위험 증가합니다.
⑵ 당뇨 환자는 정상 성인보다 뇌졸중 빈도가 2배 증가합니다.
⑶ 고지혈증은 뇌졸중보다는 관상동맥질환과 연관성이 더 큽니다.
2021.01.21 - [보 건 자 료] - 뇌심혈관계질환 증상과 원인, 관리와 예방 방법은?
2020.10.05 - [건 강 정 보] - 뇌심혈관계질환에 좋은 음식과 나쁜음식
2021.01.21 - [보 건 자 료] - 급성 심부전의 증상과 뇌심혈관계질환 예방을 위한 9대 생활 수칙
2022.07.07 - [보 건 자 료/산업보건] - 뇌심혈관계질환 - 업무와 관련한 위험요인
'보 건 자 료 > 산업보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연 하는법, 담배 끊는 방법 (0) | 2022.07.07 |
---|---|
심혈관질환의 위험요인, 관상동액질환의 위험요인 (0) | 2022.07.07 |
뇌심혈관질환의 발생원인과 개인요인과 직업적요인 (0) | 2022.07.07 |
뇌심혈관계질환 - 업무와 관련한 위험요인 (0) | 2022.07.07 |
역학조사란? 역학조사를 실시할 수 있는 경우는? (0) | 2021.06.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