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무량의 관리
①적정업무에 대한 직무분석
②불필요한 업무 지시 등 삼가
③퇴근시간을 준수할 수 있는 범위의 업무량
④업무 수행의 자율성 보장
⑤휴식시간이 고려된 업무량
업무에 대한 책임의 관리
조직적 차원의 직무스트레스 관리*
노동시간의 관리
①근로자의 수면관리
-최소한 하루에 6시간 이상의 수면시간 확보
-쾌적한 수면 환경 조성
-침실에서는 회사 잔무처리와 같은 일거리를 벌이지 않음
-시장해서 잠이 안오면 간단한 간식 섭취
-잠자리에 들기 전에 과식이나 음주는 자제
-수면제 복용은 의사와 상담 후에 복용하는 것이 좋고, 정기적으로 매일 복용하는 것은 삼가
-매일 규칙적으로 적절한 양의 운동 실시
-피로감이 심하게 느껴질 경우 휴식시간 이용하여 낮잠
②야간근로 관리
-야간 근무를 마친 후 아침 근무에 들어가기 전 최소한 24시간 이상 휴식
-교대 방향은 아침반→저녁반→야간반의 순서로 정방향으로 순환하도록 배치
-야간작업 시 작업장의 조도를 밝게, 온도는 주간작업 때보다 약 1℃정도 높임
-사이잠(napping) 잘 수 있도록 하고, 수면실 설치
-야간 작업 시 칼로리가 낮으면서 소화가 잘되는 음식 제공
노동강도의 관리
-노동강도를 주기적으로 평가하여, 신체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관리
-적절한 휴식시간 제공
-편안하고 안락한 휴게실 설치
-근무 중 자유롭게 휴게실을 이용할 수 있는 휴식시간 제공
과도한 업무(작업)환경의 제한*
과도한 업무(작업)환경의 제한KOSHA GUIDE H-200-2018 직장에서의 뇌심혈관계질환 예방을 위한 발병위험도 평가 및 사후관리 지침
-주당 60시간 이상의 장시간노동
-고정적인 야간작업
-정신적, 심리적으로 부담이 큰 업무
-힘이 많이 드는 중노동을 연속적으로 해야 하는 작업
-부정맥이 있을 때:운전작업, 고소작업
-근무일정 예측이 어렵거나 시차가 큰 출장이 잦은 업무
-유해한 작업환경
·용광로작업과 같은 고열작업 또는 한랭작업
·과도한 소음에 노출되는 작업
·갱내작업 등 산소가 부족하기 쉬운 곳에서의 작업
·순환기계장해를 유발하는 화학물질에 노출되는 업무(이황화
탄소, 염화탄화수소류, 니트로글리세린, 메틸렌 클로라이드, 일산화탄소 등)
위의 별표 참고사항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669조 직무스트레스에 의한 건강장해 예방조치
제669조(직무스트레스에 의한 건강장해 예방 조치) 사업주는 근로자가 장시간 근로, 야간작업을 포함한 교대작업, 차량운전[전업(專業)으로 하는 경우에만 해당한다] 및 정밀기계 조작작업 등 신체적 피로와 정신적 스트레스 등
(이하 “직무스트레스”라 한다)이 높은 작업을 하는 경우에 법 제5조 제1항에 따라 직무스트레스로 인한 건강장해 예방을 위하여 다음 각 호의 조치를 하여야 한다.
1. 작업환경·작업내용·근로시간 등 직무스트레스 요인에 대하여 평가하고 근로시간 단축, 장·단기 순환작업 등의 개선대책을 마련하여 시행할 것
2. 작업량·작업일정 등 작업계획 수립 시 해당 근로자의 의견을 반영할 것
3. 작업과 휴식을 적절하게 배분하는 등 근로시간과 관련된 근로조건을 개선할 것
4. 근로시간 외의 근로자 활동에 대한 복지 차원의 지원에 최선을 다할 것
5. 건강진단 결과, 상담자료 등을 참고
하여 적절하게 근로자를 배치하고 직무스트레스 요인, 건강문제 발생
가능성 및 대비책 등에 대하여 해당 근로자에게 충분히 설명할 것
6. 뇌혈관 및 심장질환 발병위험도를 평가하여 금연, 고혈압 관리 등 건강증진 프로그램을 시행할 것
* 과도한 업무(작업)환경의 제한
KOSHA GUIDE H-200-2018 직장에서의 뇌심혈관계질환 예방을 위한 발병위험도 평가 및 사후관리 지침
2022.07.07 - [보 건 자 료/산업보건] - 뇌심혈관질환의 발생원인과 개인요인과 직업적요인
2021.01.21 - [보 건 자 료] - 뇌심혈관계질환 증상과 원인, 관리와 예방 방법은?
파트너스 활동을 통해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음
'보 건 자 료 > 산업보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물질안전보건자료(MSDS)의 교육시기와 교육내용 (0) | 2022.07.28 |
---|---|
물질안전보건자료(MSDS)구성 및 내용, 물질안전보건자료(MSDS)의 게시·비치 (0) | 2022.07.28 |
금연 하는법, 담배 끊는 방법 (0) | 2022.07.07 |
심혈관질환의 위험요인, 관상동액질환의 위험요인 (0) | 2022.07.07 |
뇌혈관질환의 위험요인 (0) | 2022.07.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