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655

석류의 효능과 부작용

석류 열량 : 67Kcal (100g) 분류 : 과실류 > 석류 제철 : 9~12월 궁합음식 : 토마토 (토마토의 비타민 A가 석류에 없으므로 보충 할 수 있다) 주영양소 : 당질(포도당·과당)이 약 40%를 차지하며 유기산으로는 새콤한 맛을 내는 시트르산이 약 1.5% 들어 있다. 수용성 비타민(B1·B2·나이아신)도 들어 있으나 양은 적다. 껍질에는 타닌, 종자에는 갱년기 장애에 좋은 천연식물성 에스트로겐이 들어 있다. 석류의 효능 석류에는 비타민이 함유되어 있어 감기에 좋으며 석류씨를 싸고 있는 막에는천연 에스트로겐 호르몬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갱년기 장애 예방에 좋습니다. 붉은 계열의 식품에는 대부분 안토시아닌과 리코펜 성분이 들어있습니다. 항산화, 항암작용을 하고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어 주어 ..

건 강 정 보 2020.09.23

빈혈증상 및 빈혈에 좋은 음식

빈혈이란? 혈액 속의 적혈구 또는 헤모글로빈이 정상값 이하로 감소한 상태. 철분이나 비타민의 결핍... 신체의 어떤 부위로 유입하는 동맥성의 혈액량이 감소한 상태(표준국어대사전) 빈혈 증상은? 어지러움, 무기력증, 피로, 잠을 많이 잠 가장 큰 증상은 피로입니다. 빈혈에 좋은 식품 1) 철결핍성 빈혈일 경우 '철분'이 많이든 식품 • 시금치와 다른 짙은 녹색의 잎채소 • 땅콩, 땅콩버터, 아몬드 • 달걀 • 콩 : 렌즈콩, 흰콩, 붉은콩 또는 구운 콩 • 건포도, 건살구, 건 복숭아 같은 말린 과일 • 자두 주스 * 철결핍성 빈혈을 철분이 많이 함유돈 음식섭취만으로 절대 치료되지 않으므로 반드시 철분제를 복용해야하며 철분제는 식전에 비타민C(과일주스)와 함께 복용하면 흡수가 더 잘됩니다. 2) 비타민 결..

건 강 정 보 2020.09.22

밤낮이 바뀌면 안좋은 이유와 야간근로자 건강관리법

사람은 태어날 때부터 24시간 주기로 되풀이되는 생체리듬이 있으며 이를 '서캐디언 리듬'이라고 하는데, 해가 뜨면 교감 신경을 활성화시켜 활동하고 해가 지면 부교감 신경으로 전환하여 휴식하는 리듬이다. 밤낮이 바뀌는 환경에 놓이는 것은 현대사회에서 많이 발생하고 있다. 인간의 생체 리듬은 정해져있기 때문에 실제로 밤낮이 바뀌면 일의 능률이 떨어지고 신체의 전반적인 컨디션도 좋지 않게 된다. 밤낮이 바뀌어 생체리듬이 떨어지면 기억력저하가 나타나 질환까지 발전할 수 있다고 스탠퍼드대 연구팀에서 밝힌 바 있다. 또한 하루 리듬이 깨지면 식욕 호르몬의 분비가 교란되어 체중 조절이 쉽지 않아 스트레스와 불규칙한 식습관까지 더해져 살이 찐다. 또한, 수면 유도 호르몬인 멜라토닌 분비가 낮에 활동하지 않는 사람에겐 ..

건 강 정 보 2020.09.16

미나리의 효능과 부작용

미나리 영문명 : Water dropwort 분류 : 채소 > 엽경채류 열량 : 100g당 21kcal (생것), 26kcal (데친 것) 미나리는 크게 물미나리와 돌미나리의 두 종류로 구분이 되며, 물미나리는 논에서 재배되어 논미나리라고도 하는데, 줄기가 길고 잎이 연하여 상품성이 높습니다.돌미나리는 습지 또는 물가에 야생하는 것으로 줄기가 짧고 잎사귀가 많으며 물미나리보다 향이 강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경상북도 청도의 한재 미나리가 특히 유명한데, 일반 미나리와 달리 줄기의 속이 꽉 차 있으면서도 질감이 연하고 향이 은은하며 줄기의 아랫부분은 자주색을 띠는 것이 특징입니다. 미나리의 효능 미나리는 비타민 A, B1, B2, C 등이 다량 함유되어 있고 단백질, 철분, 칼슘, 인 등 무기질이 풍부한 영..

건 강 정 보 2020.09.15

내장지방을 빼는데 좋은 ABC쥬스 효능

ABC주스란? Apple(사과) Beat(비트) Carrot(당근) 의 알파벳 앞글자를 따서 ABC쥬스라고 합니다. ABC주스의 효능 공통적으로 많이 들어 있는 성분 : 식이섬유, 과식물 영양소 1. 해독 쥬스 기능 : 장기에 모든 독서를 제거하는데 도움 2. 내장 지방 제거 : 내장 지방을 제거하여 몸을 건강하게 만듬. 3. 심장과 시력 건강유지 : 루테인, 베타 카로틴 등이 있어 시력과 심장에 좋다. 4. 피부 : 항산화 물질이 많은 사과, 비트, 당근으로 피부 노화를 막아주며 깨끗한 피부를 만들어 준다. 5. 면역 체계 강화 : 해독 주스의 역할로 알레르기와 감염으로부터 몸을 보호하는 면역 체계를 강화 시킨다. 6. 체중감량 : 섬유질이 풍부하여 체중 감량에 도움이 된다. 7. 해독효과 : 간의 해..

건 강 정 보 2020.09.14

잠을 많이 자면 머리가 아픈이유와 투통을 방지하는 방법.

주말에 우리는 잠을 몰아자기를 하는데 잠을 오래 자서 두통이 오신분들 있으신가요? 저는 주말에 잠을 좀 오래자는 편인데 자고 일어나면 두통때문에 꼭 '이지앤식스프로'를 먹어줍니다. 어제도 잠을 오래잤더니 두통이 찌끈찌끈. 그래서 잠을 오래자면 두통이 오는 이유에 대해 서 알아보다가 여러분들께도 정보를 드리고자 글을 씁니다. 9시간 이상 자는 사람 중 상당수가 두통을 호소 한다는데.. 뉴욕 의과대학 연구팀이 29만명을 대상으로 한 대규모 조사의 결과 잠이 모자란 사람보다 하루 9시간 이상 과다수면을 취하는 경우 뇌졸중 위험이 146%나 증가. 수면부족보다 수면과다가 결과적으로 수면의 질을 크게 떨어뜨리고 뇌에 심각한 악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연구결과로 밝혀졌습니다. 잠을 오래자면 두통이 오는 이유 1. 잠을..

건 강 정 보 2020.09.14

SCI급논문(SCI, SCIE, SSCI, A&HCI, SCOPUS)이란?

Ⅰ. SCI(Science Citation Index) 논문이란? 한글로 풀이하면 " 과학기술논문색인지수"라고 말하며 하나의 논문이 아니라 기술적 가치가 높다고 평가된 저널(해외) 저널을 말한다. SCI논문은 이런 학술지에 게재된 모든 논문을 뜻한다. 과학기술분야에서 가치가 높게 평가된 학술지들이 있는데 이런 학술지에 게제된 논문을 SCI라고 한다. 미국 클래리베이트 애널리틱스(Clarivate Analytics)가 구축한 국제학술논문 데이터베이스를 뜻한다. 애널리틱스사는 매년 학술적 기여도가 높은 학술지를 엄선하고, 같은 학술지에 수록된 논문의 색인 및 인용정보를 데이터베이스(SCI DB)화하여, 이를 필요로 하는 수요자에게 제공하고 있다. SCI에는 방대한 양의 과학기술정보가 수록되어 있으며, 특정 ..

논 문 쓰 는 법 2020.09.10

논문쓰는법 : 해외논문 영어논문 쉽게 번역하는 법

안녕하세요. 나비 입니다. 석사논문을 쓸때는 20~30개 정도의 해외논문을 번역해야 하고, 박사논문은 100개정도는 번역을 해야 논문의 타당성을 검증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의 시간은 한정되어 있고 영어실력은 너무도 슬픕니다. 전공과 영어와 페이퍼웍 모든것이 완벽하면 좋겠지만 석사, 박사라고 영어논문을 술술 읽고 번역할 수 없기에 논문을 1분만에 번역하고 빠르게 논문을 쓰는 법을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구글 번역을 활용하여 논문을 번역하고, 요약하는 방법입니다. 예전에는 구글 번역이 어설펐지만 요즘은 구글 번역이 상당히 제대로 되어 있습니다. (일어 번역은 더욱 잘된다는..) 단, 번역의 이상한 부분 정도는 캐치 할 수 있어야 하는데 예를 들면 'safety climate' 단어를 구글번역기를 사용하여..

논 문 쓰 는 법 2020.09.10

해외논문 검색하는 법은? 해외논문검색사이트로 해결!

안녕하세요. 나비 입니다. 국내 논문 검색사이트는 알려드렸는데요. na-bee.tistory.com/2 국내 논문검색사이트를 통하여 논문자료 확보 하기. 안녕하세요. 하얀나비 입니다. 우선 저에 대해서 짧게 소개 하자면 공학을 전공하였고 서울이 있는 모대학에서 학부, 석사, 박사까지 졸업하였습니다. 처음에 논문을 쓰려고 하면 방향성을 잘 � na-bee.tistory.com 해외 논문 검색사이트도 알려드리고자 글을 씁니다. 석사 논문을 쓸때는 본인 논문의 검증성을 위해 해외 논문을 20~30개 정도는 기본으로 검색하셔서 번역하여 논문에 넣는 것이 좋고 박사 논몬을 쓸때는 최소 100개 이상은 검색하셔서 번역해서 논문에 넣는 것이 논문 근거를 위해서 좋습니다. 해외 논문 검색사이트는 구글 스칼라가 가장 좋..

논 문 쓰 는 법 2020.09.09

국내 논문검색사이트를 통하여 논문자료 확보 하기.

안녕하세요. 나비 입니다. 우선 저에 대해서 짧게 소개 하자면 공학을 전공하였고 서울이 있는 모대학에서 학부, 석사, 박사까지 졸업하였습니다. 처음에 논문을 쓰려고 하면 방향성을 잘 못잡아서 여기저기 인터넷을 찾아보게 되는데 대부분은 논문을 쓰는법이 아닌 컨설팅 회사와 연계(?)가 되어 있고 제대로 된 정보가 없는 것 같아서 제가 아는 범위 내에서 최대한 도움을 드리고 싶어서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미흡한 점이 많을 수 있지만, 최대한 많은 정보를 드리고자 노력하겠습니다. 이제 본격적으로 논문쓰는법의 기초. 대학원 석사논문이든 박사논문이든 가장 기본이 되는 것은 논문을 검색하고 관련 자료를 모으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학위논문을 쓰기 전 충분한 자료 확보가 되지 않으면 논문을 쓰기가 힘들겠지요. 학..

논 문 쓰 는 법 2020.09.09
반응형
반응형